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Q-Q 플롯
- 날짜 시간 데이터 전처리
- 군집화 시각화 방법
- ARMA 모델링
- 지수평활법
- Z-점수 기반 이상치 탐지
- 상관 분석
-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다변량 분석
- 상위포지션
- 선형 판별 분석 LDA
- ARIMA 모델링
- 순서형 데이터
- Python
- 주성분 줄이기
- R과 Python
- 시계열 특성을 고려한 이상치 탐지
-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상자 그림
- custom vision
- 시계열 상관 분석
- 주성분 분석
- 계절성 모델
- 최소-최대 정규화
- 다중상관분석
- 명목형 데이터
- 데이터의 차원 축소
- 범주형 데이터
- 시계열 모델링
- 데이터 종류에 따른 분석 방법
- Today
- Total
목록TIL/HTML, CSS (16)
me made it !
https://flexboxfroggy.com/#ko

arof03.cafe24.com/속도비교.html 참고 1. div[id^=box] : id속성값이 box로 시작하는 애들한테 다 적용시킨다는 뜻 2. transform의 속성이 여러개 적어 있을 때는 작성순서에 따라 변형의 적용순서가 바뀐다는 것 꼭 기억~ 3. perspective:n px 에서 n의 크기가 클수록 시점의 거리가 크니까 원근의 차이가 작게 나타나고, n의 크기가 작을 수록 원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 멀미날 지경) 4. 역시나 animation도 한줄에 한번에 적기도 가능하다. 적는 순서는 animation: 이름 재생시간 [속도] [대기시간][반복횟수][방향][스타일] 오늘 바꾼 코드 내용 구분하기 좀 힘들었는데 타임라인 이라는 좋은 기능이 있다는 걸 발견해버렸따 호호 5. 일..

어제 점심으로 먹은 간장국수가 얹혔는지 체끼가 있었다. (많이먹긴함) 결국 공부할 정신이 아니였고,,,,,, 그렇게 잠에 들고야 말았다. 오늘은 좀 괜찮아져서 집에 오는길에 딸키 마스카포네 초코케잌을 사옴ㅎ 오늘은 어제 공부한 내용이랑 같이 합쳐서 쓰니까 양이 많다 1. favicon 이란 무엇이냐.. 이렇게 앞에 홈페이지 제목 앞에 아이콘을 말함 2. 리셋코드는 ?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 3. 특이한 점은 class="inner" 를 지정해줘서 컨텐츠가 들어가있는 영역을 만들어주는 것이였다 아무래도 background를 깔아주고 그 위에 만들면 위치를 정해주기 힘들어서 그런걸까? 라는 생각이 들었따 4. div말고 article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html문서의 파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

어제 휴가를 다녀와서 하루 수업을 빠졌더니 약간의 공백이 생겨버렸다. 아마도 가상요소..? 부분인거 같은데 책으로 공부해보고 내일 가서 물어봐야지 오늘 처음 보는 것들 1. label 레이블은 항목에 대한 캡션을 만든다 . 2. input 를 양식 컨트롤과 연결하면 다음 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이점이 있습니다. 레이블 텍스트는 해당 텍스트 입력과 시각적으로만 연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식 입력에 집중하면 화면 판독기가 레이블을 읽어 보조 기술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레이블을 클릭하거나 터치/탭하면 브라우저는 관련 입력에 포커스를 전달합니다(결과 이벤트도 입력에 대해 발생함). 입력에 집..

http://arof.dothome.co.kr/ 국립중앙박물관 arof.dothome.co.kr 참고 ~~ https://fonts.google.com/noto/specimen/Noto+Sans+KR?query=noto Google Fonts: Noto Sans Korean Noto is a global font collection for writing in all modern and ancient languages. Noto Sans KR is an unmodulated (“sans serif”) design for the Korean language u fonts.google.com 1. vertical-align 에 따른 별의 위치 잘보기

http://noeyxos.dothome.co.kr/ 전주비빔밥축제 전주비빔밥축제조직위원회 Tel:063-231-8969 Fax:063-278-0093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 한국전통문화전당 2층 Coptright © 2017 Jeonju Bibimbap Festival Organizing Committee. All rights reserved. e-mail : Bibimbapfest@naver.com noeyxos.dothome.co.kr 제가 만들었씀니다. 어라라?? 갑자기 완성해버린 나 1. footer 부분에 처음으로 가상클래스를 사용해보았따 2. white-space:pre; 백색공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 아래에 참고) pre태그가 사용자가 입력한 대로 출력할 수 있었던걸..

vscode 입성 ! 오늘의 목표물 그리고 새로운 태그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header,nav,gnb,main,section,footer,address [index.html] 1. ! +enter 누르면 기본값이 자동으로 써진다 (개꿀모드) 2. ctrl + d 가 안먹혀서.... 뭐지 했는데 alt + shift + 방향키 아래 누르면 행 복사가 된다 그리고 ... alt가 행 선택기능? 이라 행이 왔다갔다하기도 함. 3. onmouseover=""은 마우스를 올려놓았을 때 변화를 줄 수 있고(여기서는 색깔이 변한다) onmouseout=""은 마우스를 거두었을 때의 변화를 설정하는 것 4. 리셋코드를 꼭 써서 기본값들을 없애주도록 한다. 5. main_view ~ section 은 main_view..

오늘 사이트 내 손으로 하나 뚝딱 했다 보람차다 호호 ! 1. 사실 div와 p차이를 잘 몰랐는데 오늘 생각한게 는 단락 개념이고 는 영역?적인 면으로 더 큰 개념인거 같았다. 2. h3 은 소제목 표시할때 씀 3. alt="" 안에 많은 정보가 들어있는 것이 좋다 4. 만약 alt에 들어가야할 정보가 뒤에 텍스트로 다 출력된다면 alt 속성은 비워도 괜찮다 5. display:inline-block;은 수평정렬하기 위해 넣어줬다 (참고로 inline은 거의 안쓴다고 한다) 6. #header #main_menu{font-size:0;}을 해주는 이유는 하기 전을 보면 li 사이에 공백이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유는 현재 inline-block 속성을 설정해주어서 li들을 문자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

갑자기 너무 날이 따듯해져서 숨이 막힐 정도였다. 1. width를 퍼센티지로 정해준 적은 처음이라 흥미로웠다. 2. a-1 의 height:280px는 a-2의 ,a-3,a-4의 각각의 height;80px와 margin:40px 값을 더해서 맞춰줬다. 3.>그리고 a-1/ a-2,a-3.a-4 띄울라고 margin을 이용하는 줄 알았떠니,..float로만 해도 충분히 되는거였다.

여기서 background-color가 반영이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따. class 선택자와의 차이점 .기호가 아닌 #기호 사용 태그의 class 속성이 아닌 id 속성을 참조 문서 내에 유일한 요소에 사용 구체성 인접 형제 선택자 div + p { color: red; } 인접 형제 선택자는 선택자 사이에 + 기호를 넣습니다. 자식 선택자와 마찬가지로 공백은 있거나 없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인접 형제 선택자는 형제 관계이면서 바로 뒤에 인접해 있는 요소를 선택하는 선택자입니다. /* body 요소의 자식인 div 요소의 자손인 table 요소 바로 뒤에 인접한 ul 요소 선택! */ body > div table + ul { ... } 위 코드처럼 문서 구조 관련 선택자는 더 복잡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