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계절성 모델
- 주성분 줄이기
- custom vision
- 다변량 분석
- ARIMA 모델링
- 지수평활법
- ARMA 모델링
- 데이터 종류에 따른 분석 방법
- 상위포지션
- Q-Q 플롯
- 시계열 특성을 고려한 이상치 탐지
- 상자 그림
- Z-점수 기반 이상치 탐지
- 최소-최대 정규화
-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상관 분석
- Python
- 범주형 데이터
- 다중상관분석
- 군집화 시각화 방법
- 시계열 모델링
- 시계열 상관 분석
- 명목형 데이터
-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날짜 시간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의 차원 축소
- 순서형 데이터
- 주성분 분석
- R과 Python
- 선형 판별 분석 LDA
Archives
- Today
- Total
me made it !
[알고리즘] 백준 2630번 색종이 만들기 + 리팩토링 본문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630
알고리즘 분류
분할 정복
재귀
(하연이 코드)
import sys
def count_colors(x, y, size):
global white, blue
initial_color = paper[x][y] # 현재 영역의 첫 번째 색상
same_color = True # 현재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지 확인하는 플래그
# 현재 영역의 모든 칸을 검사하여 같은 색인지 확인
for i in range(x, x + size):
for j in range(y, y + size):
if paper[i][j] != initial_color: # 다른 색이 발견되면
same_color = False # 같은 색이 아님을 표시
break # 내부 루프 중지
if not same_color: # 같은 색이 아님이 확인되면
break # 외부 루프 중지
if same_color: #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 경우
if initial_color == 0: # 흰색일 경우
white += 1 # 흰색 카운트 증가
else: # 파란색일 경우
blue += 1 # 파란색 카운트 증가
else: # 영역이 다른 색이 섞여 있는 경우
half_size = size // 2 # 영역을 네 부분으로 나눌 크기 계산
count_colors(x, y, half_size) # 1사분면
count_colors(x, y + half_size, half_size) # 2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half_size) # 3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 half_size, half_size) # 4사분면
if __name__ == '__main__':
n = int(sys.stdin.readline()) # 색종이의 크기 입력 받기
paper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 색종이의 색상 입력 받기
white, blue = 0, 0 # 흰색과 파란색 카운트 초기화
count_colors(0, 0, n) # 전체 색종이에 대해 함수 호출
print(white) # 흰색 색종이 조각 개수 출력
print(blue) # 파란색 색종이 조각 개수 출력
풀이
우선 함수를 생성하는데 색종이 안에 같은 색인지 확인하는 재귀 함수를 생성한다.
재귀함수의 요소
1. 종료조건
2. 호출 스택
여기서 종료 조건은
if same_color: #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 경우
if initial_color == 0: # 흰색일 경우
white += 1 # 흰색 카운트 증가
else: # 파란색일 경우
blue += 1 # 파란색 카운트 증가
이 부분이다. 그리고 아래에서 함수가 계속 호출됨
else: # 영역이 다른 색이 섞여 있는 경우
half_size = size // 2 # 영역을 네 부분으로 나눌 크기 계산
count_colors(x, y, half_size) # 1사분면
count_colors(x, y + half_size, half_size) # 2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half_size) # 3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 half_size, half_size) # 4사분면
+ 그리고 여기 영역을 나누어서 확인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서 이중리스트 인덱스 확인하는 데서 애먹었다. 후 ~
확인해보니 현재 영역 안의 모든 칸을 검사하여 같은 색으로 확인하는 부분은 굳이 재귀함수 안에 있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 함수를 따로 분리해보기로 했다 . 즉. 리팩토링을 해보겠다는 뜻.
def is_same_colour(x, y, size):
same_color = True
initial_color = paper[x][y]
# 현재 영역의 모든 칸을 검사하여 같은 색인지 확인
for i in range(x, x + size):
for j in range(y, y + size):
if paper[i][j] != initial_color: # 다른 색이 발견되면
same_color = False # 같은 색이 아님을 표시
break # 내부 루프 중지
if not same_color: # 같은 색이 아님이 확인되면
break # 외부 루프 중지
return same_color
# 색종이 만들기
import sys
def is_same_colour(x, y, size):
same_color = True
initial_color = paper[x][y]
# 현재 영역의 모든 칸을 검사하여 같은 색인지 확인
for i in range(x, x + size):
for j in range(y, y + size):
if paper[i][j] != initial_color: # 다른 색이 발견되면
same_color = False # 같은 색이 아님을 표시
break # 내부 루프 중지
if not same_color: # 같은 색이 아님이 확인되면
break # 외부 루프 중지
return same_color
def count_colors(x, y, size):
global white, blue
initial_color = paper[x][y] # 현재 영역의 첫 번째 색상
same_color = is_same_colour(x, y, size) # 현재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지 확인하는 플래그
if same_color: # 영역이 모두 같은 색인 경우
if initial_color == 0: # 흰색일 경우
white += 1 # 흰색 카운트 증가
else: # 파란색일 경우
blue += 1 # 파란색 카운트 증가
else: # 영역이 다른 색이 섞여 있는 경우
half_size = size // 2 # 영역을 네 부분으로 나눌 크기 계산
count_colors(x, y, half_size) # 1사분면
count_colors(x, y + half_size, half_size) # 2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half_size) # 3사분면
count_colors(x + half_size, y + half_size, half_size) # 4사분면
if __name__ == '__main__':
n = int(sys.stdin.readline()) # 색종이의 크기 입력 받기
paper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 색종이의 색상 입력 받기
white, blue = 0, 0 # 흰색과 파란색 카운트 초기화
count_colors(0, 0, n) # 전체 색종이에 대해 함수 호출
print(white) # 흰색 색종이 조각 개수 출력
print(blue) # 파란색 색종이 조각 개수 출력
이렇게 해서 원래 코드를 수정했다. 다행히 잘 돌아가는 것 까지 확인했다. 끝.
반응형
'크래프톤 정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DFS 와 BFS (0) | 2024.07.13 |
---|---|
[Python] strip() 과 split() 의 차이 (1) | 2024.07.12 |
[알고리즘] 분할 정복 (0) | 2024.07.11 |
[알고리즘] 그래프의 종류와 표현방식 (0) | 2024.07.11 |
[알고리즘] 완전탐색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