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ARMA 모델링
- 군집화 시각화 방법
- Python
- R과 Python
- 주성분 줄이기
- 날짜 시간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종류에 따른 분석 방법
- 지수평활법
- 범주형 데이터
- 순서형 데이터
- 시계열 상관 분석
- 상자 그림
- 시계열 특성을 고려한 이상치 탐지
- Q-Q 플롯
- 다중상관분석
- ARIMA 모델링
-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 데이터의 차원 축소
- 최소-최대 정규화
- custom vision
- 시계열 모델링
- 상관 분석
- 명목형 데이터
- 주성분 분석
- Z-점수 기반 이상치 탐지
-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계절성 모델
- 상위포지션
- 선형 판별 분석 LDA
- 다변량 분석
Archives
- Today
- Total
me made it !
[React] flex에 대하여 (반응형 레이아웃 만들기) 본문
반응형
flexDirection | |
웹 | row |
react native | column |
import { StatusBar } from 'expo-status-bar';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View} from 'react-native';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View style={{ flex : 1 }}>
<View
style={{ flex : 1, backgroundColor:"tomato"}}>
</View>
<View
style={{ flex : 2, backgroundColor:"teal"}}>
</View>
<View
style={{ flex : 1, backgroundColor:"orange"}}>
</View>
</View>
);
}

import { StatusBar } from 'expo-status-bar';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View} from 'react-native';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View style={{ flex : 1 , flexDirection:"row"}}>
<View
style={{ flex : 1, backgroundColor:"tomato"}}>
</View>
<View
style={{ flex : 1, backgroundColor:"teal"}}>
</View>
<View
style={{ flex : 1, backgroundColor:"orange"}}>
</View>
</View>
);
}

부모의 flex 수치는 자식들의 flex값의 기준이 되는 값이다
( 즉 값이 변경되어도 자식들의 크기은 변화 이상 무 . )
자식들의 flex 수치를 바꾸면 width, height 값을 구체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레이아웃에 맞게 반응형으로 크기가 바뀜!
반응형
'TIL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날씨 앱 만들기 (0) | 2023.09.05 |
---|---|
[React] (0) | 2023.09.05 |
[React] (0) | 2023.09.04 |
[React] Snack을 아시나요..? (0) | 2023.09.03 |
[React] #2 THE BASICS OF REACT (0) | 2023.09.03 |